본문 바로가기
뉴스/건강

김치 표면의 하얀 곰팡이? '골마지'에 대한 이해

by 뉴스에코 2024. 10. 28.
반응형

 

 

김치 겉면에서 종종 발견되는 하얀 물질은 곰팡이가 아닌 '골마지'로 알려져 있습니다. 그러나 만약 실 모양의 다른 색깔 곰팡이가 발견된다면 절대로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.

골마지란 무엇인가?

식품안전정보원에 따르면, 김치 표면의 흰색 막은 골마지로, 이는 김치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산균의 활동이 줄어들고 효모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. 골마지는 김치나 깍두기뿐만 아니라 간장, 된장, 절임류 등 다른 물기가 있는 발효식품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골마지가 생긴 김치는 점차 물러지고 군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골마지의 안전성

골마지는 독성이 없는 효모 덩어리로, 생긴 부분을 걷어내고 물로 씻은 후 조림이나 찌개 등으로 조리하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골마지가 아닌 다른 색깔의 곰팡이는 절대 섭취하지 말아야 합니다.

골마지 예방 방법

골마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김치를 보관할 때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 김치 표면을 비닐로 덮거나 국물에 잠기게 하고, 4도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. 공기에 많이 노출되거나 상온에서 보관할 경우 골마지가 잘 생길 수 있습니다.

또한 김치를 만들 때는 원재료인 배추 등을 깨끗이 세척하고, 고춧가루나 젓갈 등도 불순물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원료 상태가 좋지 않거나 세척이 덜 되었을 때 골마지가 더 빨리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김치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골마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

반응형